피난설비/연결송수관설비

연결송수관설비: 고층·지하 화재 현장의 생명줄

소백사 2025. 7. 12. 01:02
728x90
반응형
SMALL

✅ 연결송수관설비(Fire Department Connection)란?

연결송수관설비는 소방차 또는 가압송수장치를 통해 건물 내 소화용수를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필수 소방설비입니다. 소방차 호스를 연결하는 외부의 ‘송수구’와, 내부 소화 배관으로 물을 전달하는 ‘방수구’, 그리고 고층이나 지하 등 높은 곳까지 물을 올려주는 ‘가압송수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설치기준, 왜 중요할까요?

  • 신속한 화재 대응 : 소방차가 직접 진입하기 어려운 고층·지하 공간에서 화재진압에 필수적인 설비입니다.
  • 법적 의무 : 「소방시설법 시행령」별표 4에 설치 대상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어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 연혁으로 보는 주요 개정 사항

시행일개정 구분주요 내용
1968.09.25. 신설 송수구·방수구 높이·구경·표지 기준 최초 규정
1982.09.15. 신설 송수구는 소방차 접근 용이 위치에 설치, 방수구는 3층 이상마다 설치 규정
1991.01.08. 개정 아파트 1·2층 방수구 설치 제외
2004.06.01. 화재안전기준 제정 NFSC 502에 소방차 접근성, 표지 등 세부 규정 반영
2014.08. 일부 개정 유리창 등 방해요소 없는 장소에 설치 명시
2021.12. 일부 개정 현행 기준 유지
 
 
 

📌 현행 설치 대상 (2021년 기준)

  • 5층 이상 & 연면적 6,000㎡ 이상인 건물
  • 지하층 포함 7층 이상 건축물
  • 지하 3층 이상 &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건물
  • 터널 길이 1,000m 이상 시설

 

 

 
 
 

※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 등 기존 소화설비가 있어도 기능 간섭이 없으면 주배관을 겸용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TIP

  • 분기별 점검 : 송수구와 방수구의 개폐 상태와 표지 부착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 훈련 연계 : 실제 급수 시나리오를 포함해 소방대원과 관리자 모두가 숙지할 수 있도록 정기훈련을 진행하세요.
  • 복합설비 활용 :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 등과 연계하여 운영 시 화재 대응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