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누전경보기 완벽 정리|설치 기준부터 점검 항목까지 전문가 안내

소백사 2025. 7. 13. 00:28
728x90
반응형
SMALL

 

⚡ 누전경보기 완벽 정리|설치기준부터 점검항목까지 전문가 설명

전기는 편리하지만, 잘못 다루면 화재의 위험이 큽니다.
그중 특히 위험한 원인은 바로 **누전(누설전류)**입니다.
이를 사전에 감지해 경보를 울려주는 장치가 바로 누전경보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전경보기의 정의, 구성, 설치기준, 점검 방법까지
2025년 최신 소방시설 점검관리 매뉴얼을 기반으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 누전경보기란?

누전경보기는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에서 벽, 바닥, 천장 등에 설치되어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해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누전으로 인한 화재, 감전, 기계 손상 등을 예방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주요 구성은 변류기와 수신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구성 요소 및 작동 방식

구성 요소기능
감도조정장치 누설전류 감지 민감도 설정 (0.2A, 0.5A, 1.0A)
부저스위치 누전 발생 시 경보음 발생
경보등 누전 발생 시 점등
전원등 정상 작동 중임을 표시
부저 OFF등 부저가 꺼져 있을 경우 점등
시험스위치 정상 작동 테스트용 스위치
복구스위치 누전 복구 후 수동 복귀용 스위치
 

작동 원리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 경보 발생 → 음향 및 시각적 알림 → 사용자가 복구


📌 설치 대상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4에 따른 설치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건설명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 벽·천장·바닥 일부가 불연재료가 아님
계약전류용량 100A 초과 전기설비 계약 전류기준 충족 시 설치 의무
 

🚫 설치 제외 장소

  • 위험물 저장·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 지하가 중 터널 및 지하구

🔧 설치 기준 요약

항목기준 내용
정격전류 60A 초과 시 1급 누전경보기 설치 / 60A 이하는 1급 또는 2급 가능
음향장치 상시 근무 장소에 설치, 소음과 구별 가능한 음색 필요
전원회로 분전반 전용회로, “누전경보기용” 표기 필수
과전류 차단기 각 극에 15A 이하 (또는 배선용 차단기 20A 이하) 설치
전원 분기 다른 차단기로 인해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분기 구성 필요
 

설치 시 “누전경보기용” 표지를 반드시 부착해야 하며,
경보음은 다른 소음과 명확히 구별되어야 합니다.


🛠️ 유지·관리 및 점검 항목

✅ 수신부 점검

  • 전원표시등 점등 확인
  • 시험스위치 작동 여부
  • 누전 경보 및 부저 확인
  • 부저 OFF 해제 여부

✅ 전원 점검

  • 전용회로 구성 여부
  •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정상 여부
  • 분기 시 타 차단기에 의한 전원 차단 우려 확인

✅ 변류기 점검

  • 변류기 설치 위치 적정성
  • 누전 감지 기능 및 배선 이상 유무

🧪 점검 체크리스트 (18-A ~ 18-C)

항목 번호점검 내용결과
18-A-001 정격전류 따른 1급/2급 구분 O / X
18-A-002 변류기 설치 위치 확인 O / X
18-B-001 수신부 전원 점등 확인 O / X
18-B-003 누전 테스트 시 경보 작동 여부 O / X
18-C-001 전용회로 구성 여부 O / X
18-C-002 차단기 설치 여부 O / X
 

✅ 마무리 정리

누전경보기는 보이지 않는 전기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화재, 감전사고, 전기기기 손상 등을 예방하는 핵심 소방설비입니다.
정확한 설치와 점검은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2025년 최신 매뉴얼 기준에 맞춰 관리한다면
법적 요건은 물론, 실질적인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